포스트맨이란?
https://hyunki99.tistory.com/93
[API 테스트 툴] 포스트맨(Postman) 사용방법 정리
Postman은 API 개발 및 테스트를 위한 협업 도구입니다. 웹 개발할 때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백엔드 코드 작성하고, 굳이 프론트에서 요청 코드 작성해서 테스트하지 않아도 되서 편리합니
hyunki99.tistory.com

토큰 인증이 필요한 API의 경우,
요청의 헤더에 토큰을 전달해야 합니다.
포스트맨의 Global Variable(전역 변수) 기능을 사용해서
간편하게 적용할 수 있는 방법을 소개하겠습니다. 😎
📝 포스트맨 설정
⦁ 환경 설정

✔ 환경을 추가한 후 Variable에 Bearer [토큰 값]을 추가합니다.
✔ 주의) 해당 환경이 선택되어 있어야 값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회색 체크 모양)
*Bearer Token이란?
Bearer Token은 HTTP 요청에 인증 정보를 전달하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주로 API 엔드포인트와의 통신에서 사용됩니다.
클라이언트가 서버로 보낼 요청의 헤더에 토큰을 포함하여 보내는 방식입니다.
⦁ Request Header에 포함시키기

✔ 환경에 등록한 전역 변수는 {{변수명}} 같은 형식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토큰이 만료되어도, 모든 API의 헤더를 변경하지 않고
환경의 값만 수정하면 되므로 간편합니다. 🥳
//환경
jwt : Bearer ...token
//요청 header
Authorization : {{jwt}}

프로젝트의 설정에 따라
토큰의 값을 Authorization이 아닌
다른 이름의 Key를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이럴 경우 API Key 방식을 사용하면
원하는 Key와 Value를 Request Header에 추가할 수 있습니다.
참고하세요 ! 😎
참고 문헌 :
'etc' 카테고리의 다른 글
[Axios] 엑시오스 Interceptors로 공통 에러 처리하기 (401) (0) | 2025.02.13 |
---|---|
[ChatGPT] 챗지피티 API란? 사용방법 정리 (7) | 2023.11.02 |
[IT뉴스] ChatGPT에 대한 개발자들의 인식 통계 알아보기 (Stack Overflow) (0) | 2023.09.10 |
[os] 환경변수란? 설정 방법 정리 (비밀정보 숨기기, 파이썬 os.environ, EC2 환경 변수 설정) (0) | 2023.05.25 |
[API 테스트 툴] 포스트맨(Postman) 사용방법 정리 (1) | 2023.05.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