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b] 쿠키, 세션, 토큰(jwt) 인증 방식 정리
웹에서 사용자를 인증할 때 크게 쿠키, 세션, 토큰 방식이 있다.
HTTP 프로토콜은 Stateless이기 때문에 상태 정보를 가지지 않는다.
지속적이지 않다는 특징 덕분에 서버의 부담은 줄어들었지만,
로그인 같은 경우는 한번 인증이 완료되면 클라이언트가 누구인지
계속 정보를 유지해야 하기 때문에 사용하는 것이 쿠키와 세션, 토큰이다.
인증(Authentication) & 인가(Authorization)
1. 인증
⦁ 식별 가능한 정보로 서비스에 등록된 사용자의 신원을 입증하는 과정
예시 :
인증은 방문자가 자신이 회사 건물에 들어갈 수 있는지 확인을 받는 과정이다.
2. 인가
⦁ 인증을 통해 확인을 받은 사용자가 이후 서비스의 여러 기능들을 사용할 때 내가 로그인이
되어있음을 알아보고 활동을 허가해주는 것
예시 :
인가는 방문자가 회사 건물에 방문했을 때, 어떤 공간에 접근이 가능한지 확인하는 과정이다. 관리자라면 건물 내의 다양한 공간에 접근할 수 있는 권한이 있지만, 방문자라면 허가된 공간에만 접근이 가능할 것이다.
쿠키 ( Cookie )
쿠키는 클라이언트 로컬에 저장되는 Key-Value쌍의 작은 데이터 파일이다.
내가 가지고 있다가, 서버를 이용할 때마다 보여주는 것
⦁ 사용자 인증이 유효한 시간을 명시할 수 있으며, 유효 시간이 정해지면 브라우저가 종료되어도
인증이 유지된다는 특징이 있다.
⦁ 쿠키는 클라이언트의 상태 정보를 로컬에 저장했다가 참조한다.
⦁ 클라이언트에 300개까지 쿠키저장 가능, 하나의 도메인당 20개의 값만 가질 수 있음,
하나의 쿠키값은 4KB까지 저장합니다.
⦁ Response Header에 Set-Cookie 속성을 사용하면 클라이언트에 쿠키를 만들 수 있다.
⦁ 쿠키는 사용자가 따로 요청하지 않아도 브라우저가 Request시에 Request Header를 넣어서 자동으로
서버에 전송한다.
세션 ( Session )
일정 시간동안 같은 브라우저로부터 들어오는 요청을 하나의 상태로 보고, 그 상태를 유지하는 기술
즉, 웹 브라우저를 통해 서버에 접속한 이후부터 브라우저를 종료할 때까지 유지되는 상태
⦁세션은 쿠키를 기반하고 있지만, 사용자 정보 파일을 브라우저에 저장하는 쿠키와 달리
세션은 서버 측에서 관리한다.
⦁서버에서는 클라이언트를 구분하기 위해 세션 ID를 부여하며 웹 브라우저가 서버에 접속해서 브라우저를
종료할 때까지 인증상태를 유지한다.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서버에 두기 때문에 쿠키보다 보안에 좋지만, 사용자가 많아질수록
서버 메모리를 많이 차지하게 된다.
즉, 동접자 수가 많은 웹 사이트인 경우 서버에 과부하를 주게 되므로 성능 저하의 요인이 됩니다.
⦁ 클라이언트가 Request를 보내면, 해당 서버의 엔진이 클라이언트에게 유일한 ID를 부여하는 데 이것이 세션 ID입니다.
쿠키와 세션의 차이점
1. 저장위치
쿠키는 로컬에, 세션은 로컬과 서버에 저장된다.
2. 보안
쿠키는 탈취와 변조가 가능하지만, 세션은 ID값만 가지고 있고 서버에도 저장이 되어있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안전하다.
3. Lifecycle
쿠키는 브라우저를 종료해도 파일로 남아있지만, 세션은 브라우저 종료시 세션을 삭제한다.
4. 속도
쿠키는 파일에서 읽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빠르고, 세션은 요청마다 서버에서 처리를 해야하기 때문에 비교적 느리다.
토큰 ( JWT )
JWT(Json Web Token)는 웹상에서 정보를 Json 형태로 주고받기 위해 표준규약에 따라 생성한 암호화된
토큰으로 복잡하고 읽을 수 없는 string 형태로 저장되어 있다.
JWT.IO
JSON Web Tokens are an open, industry standard RFC 7519 method for representing claims securely between two parties.
jwt.io
1. 구성요소
모든 웹서비스가 필수적으로 가지고 있는 인증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
각 방법에 따라 장단점이 있기 때문에 내 서비스에 어떤 방법이 적합할지 고민해야 합니다.
간단한 서비스라면 JWT를 사용것도 좋은 방법이라고 합니다.
JWT는 공부해서 추후에 더 자세히 포스팅하겠습니다.
참고 문헌 :
https://gorokke.tistory.com/181
https://www.youtube.com/watch?v=1QiOXWEbqYQ&t=455s
https://hahahoho5915.tistory.com/32
https://my-codinglog.tistory.com/19
https://kxmjhwn.tistory.com/315
https://interconnection.tistory.com/74
https://velog.io/@hahan/JWT%EB%9E%80-%EB%AC%B4%EC%97%87%EC%9D%B8%EA%B0%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