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회] 일산 킨텍스 2022 공학페스티벌 참가 후기
·
일상
2022년 11월 10~11일에 일산 킨텍스에서 개최된 공학페스티벌에 다녀왔습니다. 그동안 각종 대회 서류랑 개발 때문에 블로그 글을 못썼습니다. 😥 아무리 바빠도 꾸준히 써야 하는데 반성하고 있습니다 ㅎㅎ. 리액트 네이티브 관련 포스팅이 노션에 10개는 쌓인 것 같습니다. 😂 전시장 내부가 엄청 넓었습니다. QR코드를 찍으면 저 카드를 자동으로 프린트해주는데 깜짝 놀랐습니다. 이게 과학이지 입장하자마자 가슴이 웅장해졌습니다. 정말 예쁘게 잘 되어 있었습니다. 또 다른 대학교 대표팀들이 엄청 많고, 작품들도 정말 대단해서 우리가 여기 와도 되나? 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하지만 남자는 자신감이죠. 기죽지 않습니다. 저희 전시 부스입니다. 1주 공부하고 1주 만에 뚝딱 리액트 네이티브로 만든 모바일 앱과 ..
[React Native] 리액트 네이티브 라인 차트 만들기 (react-native-chart-kit)
·
Front-End/React Native
프로젝트를 하면서 라인 차트를 그려야 해서 리액트 네이티브에서 쓸만한 차트 라이브러리가 있는지 찾아봤습니다. 찾아보니, react-native-chart-kit라는 라이브러리가 주간 다운로드 수가 2만도 넘고 제일 적당한 것 같아서 사용하게 되었습니다.😀 📝 소스코드 https://www.npmjs.com/package/react-native-chart-kit react-native-chart-kit If you're looking to **build a website or a cross-platform mobile app** – we will be happy to help you! Send a note to clients@ui1.io and we will be in touch with you short..
[Spring] 자바 스프링 Bean Scope 정리, 싱글톤 패턴 (singleton, prototype)
·
Back-End/Spring
스프링 빈의 주요 속성 중 하나인 scope(객체의 범위)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Spring Bean Scope ⦁ 싱글톤? 스프링은 기본적으로 모든 bean을 singleton으로 생성하여 관리합니다. (기본 값이 싱글톤) bean은 컨테이너에서 한 번 생성됩니다. 생성된 객체는 single beans cache에 저장되고, 해당 bean에 대한 요청과 참조가 있으면 캐시 된 객체를 반환합니다. public class MainClass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AbstractApplicationContext ctx = new GenericXmlApplicationContext("classpath:applicationCTX.xml"); Studen..
[Spring] 자바 스프링 AOP란?, AOP 개념 정리 (프록시, AspectJ)
·
Back-End/Spring
https://www.youtube.com/watch?v=Hm0w_9ngDpM 우아한테크코스 제이님의 AOP 테코톡을 정리해 봤습니다. AOP는 Aspect-Oriented-Programming의 약자로 관점 지향 프로그래밍이라는 뜻입니다. 이름만 봐서는, OOP(객체 지향 프로그래밍)과 대치될 것 같은 이름이지만 그렇지 않습니다. AOP는 OOP를 보완한 일종의 패러다임입니다. 📝 개요 ⦁ 회사 상사에게 부탁을 받은 자이는 기능을 개발합니다. ⦁ 잘 개발하고 싱글벙글 출근을 하게 됩니다. 😀 ⦁ 자이는 퇴사를 결심하게 됩니다. 회사에 메서드가 1억 개였기 때문이죠 😂 농담이고 자이는 1억 개의 메서드에 작업을 하는 중에 이상한 점을 발견합니다. ⦁ 사실상 이 코드에서 핵심적인 내용은 비즈니스 로직 1줄..
[Spring] 자바 스프링 한글 깨짐 해결 (filter)
·
Back-End/Spring
Spring Legacy Project를 처음 생성하면 한글이 깨지는 현상이 발생합니다. web.xml 파일에 를 추가해 줌으로써 해결할 수 있습니다. 📝 web.xml에 추가 ⦁ 태그 하단에 작성해주세요. EncodingFilter org.springframework.web.filter.CharacterEncodingFilter encoding UTF-8 forceEncoding true EncodingFilter /* 📝 결과 화면 ✔ 스프링 한글 깨짐 현상을 해결했습니다. 😀 참고 문헌 :
[Spring] 자바 스프링 프로퍼티(properties) 파일 데이터 가져오기
·
Back-End/Spring
프로퍼티(properties)란 응용 프로그램의 구성 가능한 파라미터를 저장하기 위해 자바 관련 기술을 사용하는 파일의 확장자입니다. 주로 스프링의 설정 정보를 저장한다고 합니다. .properties의 각 줄은 일반적으로 하나의 값을 저장하고 key(문자열) = value 쌍 형식을 가집니다. 프로퍼티 파일에서 설정 값을 분리하면 얻을 수 있는 장점은 @Value 어노테이션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Value 어노테이션의 주요 용도는 자바 코드 외부의 리소스나 환경정보에 담긴 값을 사용하는 데 있습니다. @Value는 소스코드 안에 포함되는 어노테이션이어서 값을 수정하면 매번 새로 컴파일 해야합니다. 하지만 @Value에서 프로퍼티 파일의 내용을 참조하게 해주면 소스코드의 수정 없이 @Val..
[React Native] 리액트 네이티브 코드 적용 안되는 이슈 해결 (캐시 초기화)
·
Front-End/React Native
리액트 네이티브 개발을 하다가 앱이 너무 느려진다거나, 소스 코드를 변경해도 적용이 안되는 이슈를 겪게 되었습니다. 에러 메시지도 보여주지 않기 때문에 해결하기 굉장히 힘들었습니다. 🤦‍♂️🤷‍♂️ 결국 Stack Overflow의 도움을 받아 해결하게 되었습니다! https://stackoverflow.com/questions/40985027/unable-to-resolve-module-in-react-native-app Unable to Resolve Module in React Native App I'm getting an error in React Native saying it can't resolve a module. It's saying a certain folder doesn't exist ..
[Spring] DI(의존성 주입) @Configuration @Bean 어노테이션 사용방법
·
Back-End/Spring
https://hyunki99.tistory.com/64 [Spring] 스프링 프레임워크란?, 의존성 주입 방법 2가지 (IOC, DI, ApplicationContext 빈 가져오기) 스프링 프레임워크란 자바 플랫폼을 위한 오픈소스 애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로서 엔터프라이즈급을 개발하기 위한 모든 기능을 종합적으로 제공하는 경량화된 솔루션입니다. ✔ 엔터프라이즈 hyunki99.tistory.com 지난 글에서 DI 2가지 방법(Setter, 생성자)을 알아봤습니다. 더 편리하게 의존성 주입을 할 수 있는 어노테이션 방법이 더 있다고 합니다. @Configuration @Bean 어노테이션에 대해 알아봅시다. 😀 프로그램이 거대해 짐에 따라 XML을 이용하여 IOC Container를 설정하는 것이 어려..